논문 용어정리(2)
정규성(Normality) 도수 분포 곡선이 평균값을 중앙으로 하여 좌우 대칭인 종 모양을 이루는 것 왜도(Skewness) 분포의 비대칭의 정도, 즉 분포가 기울어진 방향과 그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단봉분포에서 긴 고리가 왼쪽으로 있으면 음(negative)의 왜도, 그 반대의 경우 양(positive)의 왜도를 가진다고 한다. 왜도 계산값이 0이면 좌우대칭 분포를 가지고, 0보다 작으면 음의 왜도를 가지고, 0보다 크면 양의 왜도를 가진다. 왜도계산값은 절댓값이 클수록 분포의 비대칭 정도가 커진다. 첨도(Kurtosis) 측정치의 형상을 대수화한 것으로 첨도란 분포의 산(山)의 뾰족한 형태를 가리킨다. α4는 무명수로 α4=3인 때 정상적인 산 모양을 나타내며, α43인 때는 뾰족한 봉..
SCHOLAR
2019. 9. 17. 08:25